본문 바로가기
싹 쓸어와

분양가의 10%로 입주

by 아들짱 2025. 7. 11.

✅ 1. 지분적립형 주택이란?

  • 집을 한 번에 사지 않고 처음에 분양가의 일부(최소 10%)만 내고 입주한 뒤, 시간이 지나면서 나머지 지분을 분할 매입하는 방식입니다.
  • 기존처럼 한 번에 전체 분양금을 부담하지 않고, 임대와 분양의 중간 개념입니다.
  • 최장 20년간 거주하면서 점진적으로 지분을 사들이게 됩니다.
거주 기간개인 지분정부·공공 지분
입주 시 10~25% 75~90%
5년 차 45% 55%
10년 차 65% 35%
15년 차 85% 15%
20년 차 100% 0%
 
  • 정부나 공공기관이 지분을 갖고 있다가 시간이 지나면 주민이 100% 소유하게 되는 구조입니다.

✅ 2. 정부가 지분적립형 주택을 도입하는 이유

  • 주택 가격이 올라 청년과 신혼부부 등이 집을 사기 어려운 상황에서 초기 매입 부담을 줄여 내 집 마련 기회를 확대하려는 목적입니다.
  • 월세 부담 증가와 전세 사기 피해 등에 대응하기 위한 주거 안정책으로도 추진됩니다.

✅ 3. 정부의 주거안정 대책 요약 (박스 내용)

▣ 서민 주거 지원

  • 지분적립형 주택 공급 확대
  • 주거급여 확대 및 소득 지원 강화
  • 월 40만원 무주택 독립청년 지원(무작위 추첨 없이)

▣ 전세사기 피해 구제

  • 피해 주택은 매입 기간 단축
  • 공공임대주택 지원 대상 확대

▣ 가계부채 관리 강화

  • ‘부동산 이상 거래’ 차단 (탈법 거래 원천 차단)

✅ 4. 정책 대상과 효과

  • 20~30대 청년, 신혼부부, 무주택 서민층이 주요 대상입니다.
  • '살면서 지분을 늘리는 구조'이기 때문에 거주의 안정성과 내 집 마련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습니다.
  • 정부는 107개 부지, 8.6만 가구 규모로 공급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

✅ 5. 배경과 시사점

  • 과거에도 전세금이 폭등하고 분양가가 부담스러워 내 집 마련의 진입장벽이 높았던 점을 고려하여 새로운 방식이 필요했습니다.
  • 전세 사기, 월세 폭등 등으로 주거불안 계층이 늘어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로 등장했습니다.

✅ 요약

처음엔 10%만 내고 입주, 나중에 분할 매입해 100% 내 집 마련”… 정부가 무주택 서민을 위한 새로운 주택 모델로 지분적립형 주택을 본격 도입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