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싹 쓸어와

"영끌" 후폭풍

by 아들짱 2025. 5. 21.

 

 

 ‘영끌’ 후폭풍… 주담대 채무조정 2배 증가

 

📌 핵심 요약

  • **캠코(한국자산관리공사)**의 주담대 채무조정 지원이 2023년 대비 140% 급증
  • 지원 건수: 2023년 58건 → 2024년 126건
  • 지원 금액: 약 2,054억 원
  • 채무조정 대상자 대부분이 한계상황 내몰린 가구

📈 주요 수치 및 그래프 분석

🔹 [그래프1] 채무조정 지원 규모

  • 2021년: 약 50억 원
  • 2022년: 약 85억 원
  • 2023년: 약 100억 원
  • 2024년(예상): 205.46억 원 (역대 최대)

🔹 [그래프2] 서울 주담대 연체율

  • 2024년 11월: 0.32%
  • 2025년 2월: 0.35% (사상 최고치)

📌 2019년 12월 이후 최고치 기록
서울을 중심으로 주담대 연체율 급증


🚨 왜 이렇게 늘었을까?

  1. ‘영끌’과 ‘빚투’의 후유증
    • 저금리 시기 과도한 대출
    • 자산가치 상승 기대한 매수
  2. 금리 상승과 경기 둔화
    • 기준금리 인상 → 월 상환 부담 증가
    • 집값 하락 → 자산가치 감소로 채무불이행 급증
  3. 장기 고정금리 만기 도래
    • 2020~2021년 고정금리로 받은 대출들이 2025년 만기 돌입
    • 재고정 시 금리 급등 → 연체 위험 증가

🧾 채무조정 제도란?

  • 캠코가 주담대 연체자 대상으로 금융사 협의를 통해
    이자 감면, 분할상환, 유예 등을 도와주는 제도
  • 조건: 3개월 이상 연체 & 실거주자

📝 전문가 코멘트

“주담대 연체가 현실화되며, 2024년부터는 채무조정이 급증할 수밖에 없는 구조”
“자산 매각이 어려운 상황에서 금리 재조정기 도래로 연체자는 더 늘 것”


🔍 종합 정리

  • 주담대 채무조정은 금리 인상, 경기 둔화, 고정금리 만기 도래 등 복합 위기 대응 수단
  • 정부, 캠코 중심의 공적 조정제도 수요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전망
  • 금융 리스크 확대에 대비한 사전적 관리 필요

'싹 쓸어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★05월 23일 주요신문 헤드라인★  (0) 2025.05.23
주요신문 헤드라인  (7) 2025.05.21
수출 의존성 순위  (3) 2025.05.21
2025 대학 등록금  (1) 2025.05.21
지하철역 대단지  (1) 2025.05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