싹 쓸어와
월급 397만원 받나요? 대한민국 평균
by 아들짱
2025. 6. 27.
✅ 1. 대한민국 평균 월급은?
- 평균 임금: 397만 1,000원
- 전체 근로자의 평균 소득 (정규직 + 임시직 포함)
- 정규직: 평균 421만 2,000원
- 임시·일용직: 평균 218만 3,000원
🕒 2. 근로시간
- 전체 평균 근로시간: 월 165.5시간
- 정규직: 174.2시간
- 임시직: 87.3시간
🧭 3. 산업별 평균 임금 (단위: 만원)
산업평균 월급
금융·보험업 |
744.2만 원 (가장 높음) |
전기·가스·증기 |
589.1만 원 |
정보통신 |
530.8만 원 |
전문·과학기술 |
527.0만 원 |
제조업 |
446.9만 원 |
교육서비스 |
343.1만 원 |
보건·사회복지 |
323.3만 원 |
숙박·음식업 |
218.3만 원 (가장 낮음) |
→ 금융업과 숙박음식업 간 임금 격차는 약 3.4배
📉 4. 임시직과 일용직의 현실
- 전체 근로자의 33.1%는 임시·일용직
- 임시직 평균 근무시간은 정규직의 절반 수준인 87.3시간
- 정규직과 비교하면 소득 격차가 큼
📊 5. 지역별 & 기업별 차이
- 상용근로자 월평균 임금은 서울이 최고 (421만 5천 원)
- 가장 낮은 지역: 전북 (361만 3천 원)
- 대기업 정규직은 연봉이 높고, 중소기업·비정규직은 낮음
🚶 6. 인력 부족 심한 직종 (구인난 업종)
‘채용 계획이 많지만 사람은 부족한 업종’ TOP 5
(단위: 명, 중복 응답 기준)
- 경영·사무직 – 6.4만 명
- 임시 서비스직 – 4.6만 명
- 영업·판매직 – 5.0만 명
- 단순 운송직 – 3.9만 명
- 건설·채굴직 – 2.4만 명
🔍 분석 요약
구분내용
평균 월급 |
전체 평균 397.1만 원, 정규직은 421.2만 원 |
가장 높은 산업 |
금융·보험업 (744.2만 원) |
가장 낮은 산업 |
숙박·음식업 (218.3만 원) |
임시직 비중 |
전체 근로자의 33.1%, 근무시간은 정규직의 절반 수준 |
인력 부족 |
사무직, 영업직, 서비스직, 운송직 등에서 구인난 |